현대자동차그룹이 2027년 말까지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적용하겠다는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자율주행 기술이 한 단계 더 진화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 조건에서 차량이 대부분의 주행을 스스로 수행하는 수준입니다.
완전한 무인 주행은 아니지만, 기존 레벨 2 기술보다 훨씬 발전된 형태로 차량의 자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이를 위해 새로운 소프트웨어 브랜드 ‘플레오스(Pleos)’와 자율주행 AI ‘아트리아(Atria) AI’를 공개했습니다.
이 기술들은 고성능 연산 장치와 대규모 데이터 학습 인프라를 활용해 기존 대비 향상된 자율주행 성능을 제공합니다.
특히 HD 맵 없이도 도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은 기술적 차별점으로 꼽힙니다.
이번 발표는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에서 현대차그룹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입니다.
현재 웨이모(Waymo)와 바이두(Baidu) 등 글로벌 기술 선도 기업과의 격차를 줄이고,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oftware Defined Vehicle, SDV) 시대에 맞춰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하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1. 플레오스(Pleos)와 아트리아(Atria) AI 공개
현대자동차그룹은 개발자 콘퍼런스 'Pleos 25'에서 새로운 소프트웨어 브랜드 플레오스(Pleos)와 자율주행 AI 아트리아(Atria) AI를 발표했습니다.
- 플레오스(Pleos): 차량 소프트웨어 플랫폼 브랜드로, 차량용 앱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아트리아(Atria) AI: 레벨 2+ 자율주행 기술을 위한 AI 시스템으로, 기존 HD 맵 없이도 도로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 보유.
아트리아 AI는 8개의 8M 픽셀 카메라와 1개의 레이더를 통해 주변 환경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을 수행합니다.
기존의 HD 맵 기반 기술보다 범용성이 높고, 실시간 환경 변화에 더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2.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 기술 전략
현대차그룹은 다음과 같은 단계적인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 2026년: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시제품에 아트리아 AI 적용
- 2027년 말: 양산차에 레벨 2+ 자율주행 기술 적용 시작
이 로드맵을 통해 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경쟁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시장 내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3. 기술적 특성과 차별점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 기술이 기존 대비 갖는 차별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수직 계열화: 자율주행 시스템의 최적화를 위해 자체적으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개발.
- 고성능 연산 장치 활용: CPU와 NPU(신경망 처리 장치)를 사용해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가능.
- 대규모 GPU 학습 인프라 구축: 약 3,500대의 GPU 노드를 통해 자율주행 AI의 학습 효율성 극대화.
- HD 맵 없이도 자율주행 가능: 기존 HD 맵 기반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자율주행 기술 적용.

4.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 전략
현재 자율주행 기술 순위에서 현대차그룹은 웨이모(1위), 바이두(2위) 등 주요 기업에 비해 뒤처져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차는 다음과 같은 전략을 추진합니다.
- 자율주행 AI 기술 고도화: 아트리아 AI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성능을 지속 개선.
-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개발 가속화: SDV 도입을 통해 차량의 지속적인 성능 개선 및 무선 업데이트 지원.
- 플레오스 플랫폼을 통한 생태계 확장: 차량용 앱 생태계를 구축하여 개발자와 협업.

5. 현대차의 미래 비전
현대자동차그룹은 차량을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소프트웨어 중심 기기로 변화시키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도입: 차량의 기능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로 개선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 무선 업데이트(OTA) 강화: 최신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차량 성능을 유지.
- 플레오스 플랫폼 확대: 다양한 차량용 앱이 개발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 구축.
-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레벨 3 및 레벨 4 기술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R&D) 진행.



결론
현대자동차그룹은 2027년까지 레벨 2+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양산차에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개발과 자율주행 AI '아트리아(Atria)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으며, HD 맵 없이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기술을 확보하는 등 차별화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플레오스(Pleos) 플랫폼을 통해 차량용 앱 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속적인 무선 업데이트(OTA) 지원을 통해 차량의 성능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는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자동차 산업 혁신을 주도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현대차는 글로벌 자율주행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웨이모, 바이두 등 선도 기업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Q1. 레벨 2+ 자율주행이란 무엇인가요?
A1. 레벨 2+ 자율주행은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해야 하지만, 차량이 대부분의 주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입니다.
Q2. 현대차의 자율주행 기술 경쟁력은 어느 정도인가요?
A2. 현재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순위에서 웨이모(1위), 바이두(2위) 등과 비교하면 아직 격차가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해 SDV 및 아트리아 AI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Q3. 아트리아 AI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3. 8M 픽셀 카메라 8개와 1개의 레이더를 활용해 도로 환경을 인식하며, HD 맵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Q4. SDV(소프트웨어 중심 차량)란 무엇인가요?
A4. 차량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제어하고, 무선 업데이트(OTA)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차량 개념입니다.
Q5. 현대차는 레벨 3 또는 4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있나요?
A5. 네, 현대차는 현재 레벨 2+ 기술을 상용화한 후, 레벨 3 및 레벨 4 기술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Q6.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차량은 언제 출시되나요?
A6. 현대차는 2026년 SDV 시제품을 출시하고, 2027년 말부터 양산차에 레벨 2+ 기술을 적용할 계획입니다.
Q7. 현대차의 무선 업데이트(OTA) 기능은 어떤 장점이 있나요?
A7. 차량의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성능 개선 및 신규 기능 추가가 가능합니다.
Q8. 플레오스 플랫폼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A8. 차량용 앱 생태계를 구축해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전기차 캐즘 뜻과 원인 및 극복을 위한 노력
전기차 산업은 현재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으며, 이는 캐즘(Chasm)이라는 현상과 깊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캐즘은 기술 혁신과 관련하여 초기 수용층에서 대중 시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
richdoctor1004.tistory.com
SK하이닉스 HBM4 출시 일정 앞당긴 배경 및 특징
AI 반도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차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인 HBM4의 출시 일정을 앞당겼습니다. 기존 2026년에서 2025년 하반기로 일정을 조정하면서, AI 반도체 시장에서
richdoctor1004.tistory.com
이격도 개념부터 장점과 한계 활용법까지
이격도는 주식 시장에서 투자자들이 중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격도의 개념부터 활용법까지 상세히 설명합니다. 주식 투자 시 이격도를 효과적으로
richdoctor1004.tistory.com
테슬라 주가 급등 배경 및 전망, 향후 투자 전략
최근 테슬라(TSLA) 주가는 큰 폭으로 상승하며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3월 24일(현지시간) 기준 테슬라 주가는 12% 급등하여 278.39달러에 마감했으며, 이는 2024년 11월 6일 이후 가
richdoctor1004.tistory.com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숏스퀴즈 뜻, 발생 원인, 실제 사례, 대응 전략 (2) | 2025.04.01 |
---|---|
트럼프 대통령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 이유와 한국 자동차 산업 영향 (0) | 2025.03.3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 배경 (0) | 2025.03.27 |
커버드콜 ETF 개념, 위험성, 장점과 단점 (1) | 2025.03.26 |
공매도 뜻과 전면 재개 결정 배경 및 시장 영향과 대응 전략 (0) | 2025.03.24 |